반응형

날씨가 점점 추워지면서
평소보다 혈압이 높아지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고혈압 등 혈관 질환은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생활 속 관리가 중요하고 또 꾸준히 실천해야 합니다.

고혈압은
혈관을 따라 흐르는 혈압 (혈액의 압력)
 수치가
최고
140mmHg 이상,
최저 90mmHg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를 말합니다
.
초기 증상이 따로 정해진 부분이 없어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
주증상은 점점 뒷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움,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이는 갈수록 악화돼
뇌졸중, 심근경색
, 협심증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평소 혈압이 높다면 추워지는 날씨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왜냐하면 요즘같은 겨울엔 혈관이 수축돼
평소보다 혈압이 높아집니다
.
통계청에 따르면,
12월부터 2월 사이 고혈압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이
다른 달보다 1
0~25% 높다고 합니다.
생활관리가 약만큼 중요한 만큼,
혈압 관리에 좋은 습관을 통해 고혈압을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

오늘은 일상 생활 속,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습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혈압 낮추는 생활 습관 

 

1. 체내 나트륨 줄이기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약 10g입니다.
권장 섭취량인 6g보다 많은 양입니다.
하루 소금 섭취량을 권장량으로만 줄여도
수축기 혈압은 평균
5.1mmHg,
이완기 혈압은 2.7mmHg
줄어드는데요.
특히,
*소금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고령자나
 
당뇨, 가족력이 있거나 비민한 사람은 저염식을 할 때
혈압이 보다 효과적으로 낮아집니다
.

여기서 *소금에 대한 감수성이란,
소금 섭취에 따른 혈압 상승 정도를 말하는데요.
혈액 내 나트륨 농도가 높아지면,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세포에 있던 수분이 혈액으로 빠져나오고
혈액량 증가로 혈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

그래서 나트륨을 줄이기 위해서
일상 생활 속 실천해야할 부분을 적어봤습니다.

 - 음식에 소금 추가하지 않기
.
 - 조리 시 사용하는 소금의 양 줄이기.
 - 감자칩, 프렛즐, 소금이 곁들여진 견과류 등
소금간이 된 간식 및 가공 식품에는 소금이 많이 첨가되어 있어 멀리하기.
 - 캔에 담긴 음식이나 양념, 고기 육수, 캔 스프, 육포 등
인스턴트식품을 구매할 때, 나트륨 확인하기.

 

2. 저지방 유제품 섭취하기

유제품은
칼슘, 비타민D 섭취에 매우 중요한 식품이지만
과하게 먹으면,
지방과 소금을 많이 섭취하게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1인분은 1컵의 양으로 생각하고 섭취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치즈에도 소금 함유량이 높으니 조금만 섭취하기.
 - 요구르트와 우유를 고를 때,
저지방 혹은 무지방 우유로 구매하기.

 

3. 금연과 절주

대부분의 질환은 금연과 절주는 필수죠?
고혈압도 마찬가지입니다.
담배 속 니코틴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과 맥박을 높입니다.
그리고 잦은 음주는 혈압을 상승시킬뿐만 아니라,
고혈압약을 복용중이라면 약에 대한 저항성도 커져
약 효과가 줄어듭니다
.
금연과 절주를 통해 우리의 혈관을 건강하게 해볼까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