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도 시대적 흐름과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서
그 모양과 형태를 바꿔서 나타나게 됩니다.
그동안의 경제라 함은 규모의 경제가 대표적이었는데요.
규모의 경제란, 말그대로 대량생산을 중심으로해서
경제의 규모를 키워 수익도 함께 커지도록 갖춰진
시스템입니다.
대조적으로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것이
온디맨드 경제라는 용어 입니다.
온디멘드 경제란?
개인의 니즈를 바탕으로 기술이나 속도를
중심으로 발전한 경제 구조를 말합니다.
여러 서비스 상품이 IT 기술을 통해서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비지니스 입니다.
과거 소비자가 직접 업체를 찾아서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준비했었다면
최근에는 소비자와 업체를 연결지어주는
플렛폼들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가장 이해하기 쉬운 예시는 배달어플 입니다.
예전에는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업체에 전화해서
주문을 했었고, 그 선택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았었습니다.
햄버거, 도시락, 회, 디저트까지 배달어플을
통해서 만나볼수 있게된것이 가장 큰 변화라고
볼수 있죠.
이처럼 IT 기술(어플,온라인 등)을 통해서
소비자가 원하고자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편리하게 만나게 된 것을 온디멘드 경제라고 합니다.
배달 어플 말고도, 우리주변에 온디멘드 경제구조를
설명할수 있는 상황들이 아주 많습니다.
집을 구할때도 이제는 온라인 부동산을 찾게되고,
이사를 갈때도 업체에 직접 알아보기 보다는
인터넷을 통해 비교서비스를 받곤 합니다.
이런 현상은 고객과 만나는 업체의 서비스 경쟁력을
더 높히도록 발전되가고 있으며, 고객과 업체를
연결시켜주는 IT 기술도 발전하도록 해줍니다.
예전에는 인터넷결제를 할때, 신용카드 정보를
매번 입력하고 , 공인인증절차를 거쳐야 했지만
요즘에는 왠만해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미리
입력을 해두었다가 터치 몇번으로 손쉽게
결제까지 되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IT기술의 발전에 도움이 된 사례라고
볼수 있죠.
예전에는 불친절한 업체들은 직접 경험을
해봐야만 알수 있었지만, 요즘엔 미리
그 업체의 평가나 리뷰를 통해서 어느정도
필터링을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각 업체들도 고객에게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지속적인
발달을 노력해야만 하고,
고객과 업체를 연결시켜주는 IT 기술도
계속적으로 발전을 해만 살아남을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더 각광받고 있습니다.
암으로도 온디멘드 경제의 개념들은
우리 실생활속에서 더욱 깊숙하게
자리잡을 것같습니다.
그에 맞춰서 소비자 역시, 조금더 성숙한
기본의식과 매너를 갖춘다면
우리 세상이 조금더 편리하고 살만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부자되는 정보 > 경제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딥 뜻 무엇일까요? (0) | 2021.01.12 |
---|---|
언더독 뜻과 오버독은 무슨 차이일까? (0) | 2021.01.12 |
미닝아웃 뜻 무엇일까요? (0) | 2021.01.07 |
인덱스펀드 무엇일까? 장점과 단점,투자방법 소개 (0) | 2020.12.26 |
손익계산서 보는 방법 알려 드립니다.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