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드머니(seed money) 요즘 트랜드는 식테크

코로나 19 사태가 계속되면서 가드닝 수요 또한 급증했는데요,


계속된 바이러스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반려식물을 많이 키우기 시작했습니다
.

식물은 우리에게 심리적 긴장감을 완화시켜주는 기능과
공기 정화 기능 등으로 안정감을 주기도 하는데요,
그뿐만 아니라, 식물을 키우다보면
보는 재미와 기르는 즐거움도 매력적입니다.

또 희귀식물의 경우, 녹색의 단조로운 식물보다는
다양한 색과 무늬를 가지고 있어 기르는데 재미를 더해주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도 종종 식물을 파는 글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시드머니라는 신조어가 생기며 불리게 됐는데요,
식물을 열심히 키워서 잎을 한 장씩 잘라 파는 시드머니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잎 한 장 가격은 수만 원부터 수십만 원 선입니다.

생각보다 높은 가격에 
실수로 가격을 잘못 기재한 걸까? 잠시 눈을 의심했지만
이는 그럴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

바로,
희소성 때문입니다
.
세상에 하나뿐인 무늬를 가지고 있는 희귀식물만의 특징!
희소성때문입니다.
이러한 희소성때문에 식물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습니다.
그래서 이에 따라 식물에 투자하는 식테크족도 늘고 있습니다.

또 무엇보다 희귀식물은 식물 애호가 사이에서
부르는 게 바로 가격이 되는데요
,
일반적인 온라인 몰에서는 이런 희귀식물을 명품식물로 분류해
후에 키워 팔면,
말 그대로 시드머니’(Seed Money)가 되는
식테크
(식물 재테크)가 됩니다.

물론, 보통의 크기보다 더 크게 키워 파는 방법도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 가격은 더 비싸지겠죠?

식테크도 주식이나 암호 화폐와 같이 가격변동이 있습니다.
가격은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대까지 오른다고 합니다.

공장에서 찍어낸 공산품이 아닌 생물이다 보니
모양, , 무늬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잎에 섞인 색깔이 선명하거나 무늬가 독특할수록 값이 오르는데요,
무엇보다 개체수가 줄어들면 가격이 오릅니다.

그래서 희귀식물을 기르는 것은
운과 정성
, 둘 다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잎 한 장을 보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공들여 길러야 하기 때문인데요
,

이렇게 돈을 벌 수 있는 것도 놀랍지만,
사실 희귀식물을 기르는 이유는 꼭 돈 때문만은 아니라고 합니다.
반려식물이라는 용어가 나왔듯,
반려식물 자체로 키우는 재미가 있기 때문인데요,
관엽 식물이나 다육 식물 등
종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식물에 한 번 빠지면 관심사가 넓어지고
, 오래 키울 수 있습니다.
보는 재미도 있어
이전에 유행했던 불멍이나
풀멍과 같이 식멍’(식물을 쳐다본다는 뜻)이란 신조어도 생겼습니다.
식멍은 식물을 보고 힐링한다는 의미를 말합니다.

요즘 새로운 취미 트렌드로 떠오른 식테크,
다음 시간에는 희귀식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