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봄에는 조개 조심!

고단백 저지방 식품인 조개!
조개는 비타민과 철분이 풍부합니다.
 
특히나 다가오는 봄철이면,
간 기능을 개선해 주는 타우린 등의 성분으로
입맛을 돋워주는 데에 효과적인 식품입니다
.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지락, 키조개, 백합 동죽 등
봄철에 먹기 좋은 다양한 조개들이 있는데요.

가을에는 전어라면
봄에는 봄 조개라는 말이 있듯,
봄철 조개는 살이 오동통~ 올라서 맛도 좋지만
영양 또한 빠지지 않아
건강을 챙길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런 맛있는 조개들은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그 이유는 바로,
조개에는 독성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요,

 어떤 독소이길래
왜 맛있어지는 봄철에
조개를 조심해야 하는지 알아보
겠습니다.

 

조개 독?

패류독소

패류독소는 주로 3월부터 출현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그 쯤부터 해수의 온도가 15도~17도 정도로 상승하게 되고
유독성 플랑크톤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
 
패류독소의 기준치는 0.8mg/kg이입니다. 
봄철 조개류에는 패류독소라는 독성물질이 들어있습니다. 
기준치 이상의 패류독소가 검출된 해역에서 잡힌
자연산 홍합과 굴
, 바지락, 피조개, 꼬막, 대합(백합), 멍게, 미더덕 등
잘 확인하고 먹으면 안됩니다
.

조개는 바다에 서식하고 있는 유독성 플랑크톤을 먹이로 섭취하게 되면서
그 독이 조개 안에 축적되는데요,
조개 안에 축적된 독을 사람이 섭취할 경우
마비나 중독을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

그래서 언제쯤이면 
우리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을까요?

이 패류독소는 해수의 온도가 1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6월쯤
자연스럽게 소멸하게 되면서 사라집니다
. 
특히,
패류독소는 냉동 또는
 냉장하거나 가열 조리해도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6월 중순까지는 조개 섭취를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섭취한 경우,
패류독소는 어떠한 증상을 동반할까요?

패류독소 증상

패류독소는
1. 마비성 패류독
,
 2.
설사성 패류독,
 3.
기억상실성 패류독,
4.
신경성 패류독 
이렇게 4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마비성 패류독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패류독소 증상은
섭취한 후 
30분 이내
입술 주위부터 혀
, 얼굴 전체, 목 주변까지 감각이 없어지는 마비 증세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팔다리가 마비되고, 
가벼운 호흡곤란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오랜 시간 지체될 경우,
근육이 마비되고
심할 경우에는 사망까지 초래될 수 있습니다
.


설사성 패류독은
홍합의 오염이 주로 문제가 되며
대부분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치명적이지는 않습니다
. 
설사는 물론,
메스꺼움, 구토
, 복부 통증 등 소화계 쪽 증상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3
일 정도 앓고 나면 서서히 괜찮아집니다.

기억상실성 패류독은
구토 및 설사를 동반하면서
건망증의 증상이 유발되는데요
,
 
신경성 패류독은 감각 및 사지 기능 장애, 
현기증 등 신경계 쪽으로 이상 현상을 겪게 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