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 유효기한, 보관 기간

약도 식품의 유통기한과 비슷한 개념과 같이 유효기간이 있겠죠?
하지만 우리가 약을 복용할 때,
식품처럼, 유통기한이나 보관기한을 잘 체크해보지 않는데요
,

그러다 문득,


'
보관한지 시간이 좀 흘렀는데 사용해도 될까?'

 

의문이 들 때면,
꼭 확인 후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무엇보다 중요한건,
약효 지속시간이 있습니다
.

약은 환자의 당시 상황과
치료 목표에 따라 약효를 확인하고
처방하게 되는데요
,

복용 시간도 중요합니다.
언제 복용하는지에 따라,
부작용 여부와 치료 결과가 달라지기도 하니까요
.


'현재 복용하고 있는 이 약은 언제까지 써도 되는 거지?'
증상이 없어지거나 치료가 완전히 이뤄질 때까지 마냥 계속 써도 되는 걸까요?’

중세시대 약리학자 파라셀수스가 한 유명한 말이 있죠,
모든 약은 독이다."
약이 독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써도 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데요,
약은 오래 사용할수록 몸에는 해로울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장기간 관리해야 하는 질환들,
당뇨나 고혈압 그리고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 치료제는 예외지만
,
대부분의 약은 사용 기간이 짧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항상 우리가 원하는 기간에 치료되거나 증상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우리 몸이 다 나아질 때까지 약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용법, 용량과 처방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용기간이 길어지는 것 또한 부작용, 내성 그리고 약에 대한 의존성을 높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대 투여기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더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 시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은 별도로 기간이 표기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이 기간을
7(1주일)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아무래도 일반 약의 경우 대부분 대증요법이기 때문입니다.
원인을 치료하는 약이라기보다 증상을 완화 및 억제하는 약이 대부분이라는 것인데요,

아무래도 비상약 상비약이라는 말이 있듯,
환자가 병원을 빨 가지 못하거나 갑자기 발생했을 경우,
먼저 증상을 가라앉히기 위해
전문적인 진료 전
상황부터 진정시키는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약의 특정 성분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최대 투여기간을 리스트별로 정리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

바로, '투여기간주의 성분' 리스트입니다.
투여기간주의 성분이란,
특정 투여기간을 초과해서 투여할 경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부작용 발생할 가능성이 커져
주의가 필요한 유효성분을 말하는데요
,
여기에는 일반의약품뿐만 아니라,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까지 담겨 있습니다.
실제 이 리스트에 명시된 최대 투여기간은
대부분
'7' 또는 '1'로 명시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투여기간이 더 짧을 수도, 길수도 있는데요,

약은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효과는 최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물론 최대 투여기간은 완전히 절대적인 개념은 아니기 때문에
의사의 판단과 치료 방향, 계획에 따라 정해진 처방 기간에 따라서
복용하는 것이 좋겠죠
?


이러한 부분을 미리 알고 있다면
약 복용에 조금은 도움 되지 않을까요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